
쑥된장국이 먹고싶어 쑥을 캐러갔는데 동네 산아래 쑥밭을 운좋게 찾았습니다
쑥향기가 진동을 하네요
쑥밭이라고쓰니 갑자기 쑥밭이 되버렸다는 말이 생각나서 찾아보니
• "쑥밭이되다"
→집이 있던 자리에 집은 없어지고 쑥만 무성하게 자라서 옛날의 자취를 찾아볼 길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웬만한 잡초는 서리를 맞으면 죽는데, 키가 큰 편인 쑥은 뿌리가 살아남아 이듬해에 또 싹을 내기 때문에 다른 잡초보다 더 빠른 속도로 번진다.
한때의 영화나 번영은 사라지고 초라하고 볼품없게 되었다는 뜻이다.
쑥에 대하여 알고자 다음백과를 찾아보았다
□쑥의 개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Artemisia rubripes Nakai 이다. 흔히 쑥 이외에 산쑥·참쑥(A. lavandulaefolia) · 덤불쑥(A. rubripes) 등도 쑥이라고 일컫는다. 예로부터 뛰어난 약효를 인정받아 다양한 질병을 치료해 온 약재로, ‘의초’로 불리기도 한다.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가 쑥이라는 얘기가 전해온다.
□쑥의 형태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면서 자라고, 전체에 거미줄 같은 흰 털이 있다. 크기는 약 60~1.2m로 자란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로제트처럼 모여 달리며, 줄기에서 나온 잎은 어긋난다. 잎은 날개깃처럼 깊게 4~8갈래로 갈라져 있으며 향기가 난다. 연분홍색의 꽃은 7~9월 무렵 줄기 끝에 두상꽃차례로 피는데, 하나의 꽃차례가 하나의 꽃처럼 무리 지어 달린다.
□쑥의 생태
대부분은 직사광선이 내리쬐는 개방된 입지에 서식하는데, 어디든지 돋아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생명력이 강하다. 농촌의 들녁이나 길가, 제방, 밭두렁, 과수원 언저리, 황무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쑥의 활용
이른 봄에 나오는 어린순으로 국을 끓여 먹어 봄을 느끼기도 하며, 떡(쑥떡)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곰이 쑥 1다발과 마늘 20개를 먹고 사람으로 되었다는 한국의 개국설화에서도 볼 수 있듯이, 쑥은 신비한 약효를 지니는 식물로 예로부터 귀중히 여겨왔다.
쑥은 약으로 쓰기도 하여 약쑥이라고도 부르는데, 줄기와 잎을 단오 전후에 캐서 그늘에 말린 것을 약애(藥艾)라고 해 복통·구토·지혈에 쓰기도 하며, 잎의 흰 털을 모아 뜸을 뜨는 데 쓰기도 한다. 잎만 말린 것은 애엽(艾葉)이라고 하며, 조금 다친 약한 상처에 잎의 즙을 바르기도 한다. 옛날에는 말린 쑥을 화롯불에 태워 여름철에 날아드는 여러 가지 벌레, 특히 모기를 쫓기도 했고, 집에 귀신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단오에 말린 쑥을 집에 걸어두기도 했다.
[출처]다음백과

#쑥 #쑥밭 #쑥대밭 #쑥스럽구만 #쑥된장국 #쑥버무리 #쑥대머리 #쑥떡 #쑥떡쑥떡 #무안 #일로 #귀농 #귀어 #귀산 #귀촌 #일로와놀자 #행수어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