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25

□ 일로역(Illo station, 一老驛)

"우리 열차 잠시 후 일로역에 도착합니다. 일로역 내리실 문 왼쪽 입니다. 이 열차역에서 내리시는 고객님은 뒷쪽 출입문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일로역이야기 조선 태종때 무안 현 초대 현감 나자강씨가 시찰 중 이 지역을을 지나다가 길이 좁아서 노인 한분이 다닐 수밖에 없어 일로라 칭하게 되었으며, 마을이 역 중심으로 발달한 형태로 일로읍 중심부에 위치하였으나 호남선 복선화로 읍에서 약 2km의 거리인 삼향면 맥포리에 역사를 신축 이전하여 운영중입니다. 1913년 5월 15일 광주-목포간 개통에 따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1924년 3월 1일 일로역으로 역명 변경 2002년 12월 13일 역사 신축 이전하여 영업중 • 1913년 5월 15일 : 일로읍 월암리에서 삼향역(三鄕驛)으로 영업..

카테고리 없음 2023.05.06

□ 주꾸미(Webfoot octopus)

오늘은 주꾸미 샤브샤브를 접하게 되어 글을 올려 봄니다.주꾸미(톡 터지는 알도 있습니다 )☆주꾸미의 소개 • 분류 : 수산물 〉 연체류 • 칼로리 : 52kcal (100g) • 제철 : 3월 ~ 5월 • 영양성분 :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칼슘, 철분, 비타민, 인, 나이아신, 타우린 • 음식궁합 : 돼지고기 • 보관법 : -18℃이하 냉동 보관 • 출처 : 주요 식재료 검수 도감 해설 ☆주꾸미의 개요 문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 조선 후기의 학자 정약전이 지은 수산 동식물 연구서 에는 '준어', 속명을 '죽금어'라 하고, ‘크기는 4~5치에 지나지 않고 모양은 문어와 비슷하나 다리가 짧고 몸이 겨우 문어의 반 정도이다.’라고 기재하여, 오래 전부터 주요 식재료로 관심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우리나..

카테고리 없음 2023.05.03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제목 :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주요품종 특성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월년생 또는 일년생으로, 9월 하순에서 10월 상순에 파종하여, 이듬해 5월에 수확 이용할 수 있는 사료 작물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재배면적이 가장 많고, 기온이 따뜻해지는 4월 중순에서 5월 상순에 생육이 매우 왕성합니다. 또한 비료를 좋아하는 다비성 작물이기 때문에 토양이 비옥하고 수분조건이 좋으면 수량이 많습니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는 사료가치가 높고 가축의 기호성이 우수하며 습해에 강해, 겨울철 논을 이용한 풀사료 생산에 알맞은 겨울철 사료작물인데요. 특히, 청보리나 호밀 등 맥류사료작물에 비하여 내습성이 강한 생육특성 때문에 답리작으로 재배가 유리하고, 초기생육이 빠르며 재생력이 좋아 여러 번 수확 이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풋베기, 방목, ..

카테고리 없음 2023.04.21

□무안 일로 토종갓 이야기

□무안 일로 토종갓 이야기무안의 개산제 초당이 있던 진사동이라는 동네에 한 선비가 살았답니다. 이 선비의 노모가 병이 들어 마음과 몸 고생이 여간 아니었다고 합니다. 그러던 즈음 조선의 끝자락에 왕의 자리에 오른 영친왕은 무안 땅에 곡식을 지을 땅이 부족하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영친왕은 친히 무안을 방문하고 자방포에 원둑을 쌓게하여 그곳에 농산물을 심도록 했습니다. 선비는 보를 막아 마련한 땅에서 토종갓을 재배하였습니다. 수확한 토종갓을 노모에게 드리고 아침•저녁으로 정성껏 봉양하여 노모는 건강하게 장수하셨다고 전해집니다. 그 후 사람들은 영친왕궁언장비를 세워 영친왕의 뜻을 기렸는데 그 비는 지금도 무안군 일로읍 죽산리 당월촌 마을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갓의 옛이야기 한자로 개채(芥:겨자 개, 菜:나물..

카테고리 없음 2023.04.18

□처음 쓰는 글이라 "쑥"스럽구만요

쑥된장국이 먹고싶어 쑥을 캐러갔는데 동네 산아래 쑥밭을 운좋게 찾았습니다 쑥향기가 진동을 하네요 쑥밭이라고쓰니 갑자기 쑥밭이 되버렸다는 말이 생각나서 찾아보니 • "쑥밭이되다" →집이 있던 자리에 집은 없어지고 쑥만 무성하게 자라서 옛날의 자취를 찾아볼 길이 없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웬만한 잡초는 서리를 맞으면 죽는데, 키가 큰 편인 쑥은 뿌리가 살아남아 이듬해에 또 싹을 내기 때문에 다른 잡초보다 더 빠른 속도로 번진다. 한때의 영화나 번영은 사라지고 초라하고 볼품없게 되었다는 뜻이다. 쑥에 대하여 알고자 다음백과를 찾아보았다 □쑥의 개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학명은 Artemisia rubripes Nakai 이다. 흔히 쑥 이외에 산쑥·참쑥(A. lavandulaefolia) · 덤불쑥(A..

카테고리 없음 2023.04.17